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ETF 투자로 월 10만 원 굴리는 방법 ETF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상품이 좋은지까지 살펴봤다면이제는 "실제로 얼마를 투자하면 좋을까?"라는 고민이 생길 수 있어요.월 10만 원이라는 현실적인 금액으로 ETF를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초보자 기준으로 아주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왜 월 10만 원부터 시작할까?많은 분들이 "적은 돈으로 시작해도 괜찮을까?"라고 걱정하곤 해요.하지만 ETF는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에요.1주에 1만 원 이하인 ETF도 많고자동이체, 자동매수로 습관처럼 투자하기도 좋고부담 없이 투자 감각을 익히기에 적절한 금액입니다즉, 월 10만 원은 꾸준히 ETF 투자 습관을 들이기에 딱 좋은 출발선이에요.✅ 월 10만 원으로 ETF 투자하는 기본 전략1. 시장지수형 ETF로 시작하세요처음엔 너무 많은 .. 2025. 6. 22.
STRAIGHT_JOIN과 JOIN_ORDER() 차이점 및 실무 적용 사례 복잡한 SQL 쿼리의 성능을 최적화할 때, 옵티마이저가 비효율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힌트가 STRAIGHT_JOIN과 JOIN_ORDER()입니다. 이 두 힌트는 조인의 순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작 방식과 활용 시점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힌트의 차이점과 실무에서의 적용 사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1. STRAIGHT_JOIN 이란?STRAIGHT_JOIN은 MySQL에서 INNER JOIN처럼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이며, 조인 순서를 FROM 절에 작성한 순서 그대로 강제합니다.SELECT STRAIGHT_JOIN *FROM table_aJOIN table_b ON table_a.id = table_b.a_id.. 2025. 6. 22.
📈 KODEX, TIGER, ARIRANG… 어떤 ETF를 고르면 좋을까? 국내 대표 ETF 브랜드들의 차이점과 초보자가 어떤 ETF를 선택하면 좋은지 쉽게 정리해볼게요.국내 ETF 브랜드, 왜 이름이 다를까?ETF 이름을 보면 앞에 붙은 브랜드명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KODEX 200, TIGER 미국S&P500, ARIRANG 고배당 같은 식이에요.이건 해당 ETF를 만든 운용사의 브랜드명입니다.브랜드명운용사예시KODEX삼성자산운용KODEX 200, KODEX 반도체TIGER미래에셋자산운용TIGER 미국S&P500, TIGER 2차전지ARIRANG한화자산운용ARIRANG 고배당, ARIRANG K-뉴딜모두 신뢰할 수 있는 대형 자산운용사이기 때문에 본적으로 어느 쪽을 선택해도 괜찮습니다.📊 실제로 차이가 있나요?✅ 수수료 차이같은 지수를 추종하더라도 운용사마다 수수료(운용.. 2025. 6. 21.
ETF란 무엇인가요? 진짜 쉽게 설명드립니다 주식 투자를 막 시작했는데 "ETF부터 시작하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ETF는 초보자들이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대표적인 투자 방법입니다.이 글에서는 ETF가 무엇인지, 왜 좋은지, 어떻게 투자하는지를 진짜 쉽게 알려드릴게요.📌 1. ETF란?ETF는 영어로 Exchange Traded Fund, 우리말로 하면 '거래소에 상장된 펀드'예요.쉽게 말하면, 여러 주식을 한데 묶은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에요.예를 들어, '코스피200' 지수를 따라가는 ETF를 사면 삼성전자, 현대차, 카카오 등국내 대표 기업들에 한 번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즉, 한 주만 사도 여러 기업에 자동으로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는 거죠.📌 2. ETF의 장점✅ 1) 여러 종목에 한 번.. 2025. 6. 21.
MySQL 옵티마이저 힌트 제대로 사용하는 법 MySQL 8.0.2 버전 이상에서 가능합니다.MySQL에서 쿼리 성능을 개선해야 할 때, 옵티마이저 힌트(Optimizer Hint)를 활용하면 실행 계획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힌트의 기본 문법부터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예시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옵티마이저 힌트란?MySQL은 쿼리를 실행할 때 옵티마이저가 자동으로 최적의 실행 계획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예상과 다른 계획이 선택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힌트문을 사용하여 옵티마이저가 따를 실행 계획을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힌트는 SQL 주석 안에 /*+ ... */ 형태로 작성합니다.SELECT /*+ HINT */ ...FROM ...2. 자주 사용하는 힌트 종류STRAIGHT_JOIN.. 2025. 6. 20.
MyBatis에서 동적 SQL 제대로 쓰는 법 (if, choose, where, trim) MyBatis는 SQL을 XML로 작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동적 SQL 처리는 매우 중요합니다.실무에서는 입력값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거나, 특정 필드만 업데이트하는 등 유연한 쿼리 작성이 필요합니다.이럴 때 MyBatis의 , , , 같은 동적 SQL 태그를 잘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1. : 조건 분기 처리의 기본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입니다.조건에 따라 SQL 일부를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SELECT * FROM users WHERE 1 = 1 AND username = #{username} AND age = #{age} WHERE 1=1은 조건이 없어도 SQL 문법 오류가 나지 않게 하기 위한 패턴입니다.뒤에 오는 AND 조건들을 자연스럽게 .. 2025. 6. 7.
[Java] Enum을 JSON으로 직렬화할 때 주의할 점 – @JsonValue, @JsonCreator 활용법 Spring Boot 기반 REST API에서 enum을 사용하는 경우,프론트와 JSON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직렬화(서버 → JSON), 역직렬화(JSON → 서버)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API 응답 시 Enum.name()이 그대로 나가거나클라이언트에서 String 값을 보냈는데 Jackson이 Enum으로 못 바꾸는 경우이런 상황은 프론트와 API의 통신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Enum 매핑 이슈와이를 해결할 수 있는 @JsonValue / @JsonCreator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기본 Enum 직렬화 방식은?다음과 같은 Enum이 있다고 가정합니다.public enum Status { READY, RUNNING, DONE}기본적으로 Sprin.. 2025. 6. 1.
[Java] Record vs. Lombok – 무엇을 언제 써야 할까? 소개Java에서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 를 만들 때 흔히 사용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바로 Record와 Lombok입니다.둘 다 getter, toString, equals, hashCode, 생성자 등을 자동으로 생성해주지만 철학과 구현 방식, 사용 목적은 분명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Record와 Lombok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 실무에서 언제 어떤 것을 선택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Java Record란?record는 Java 14에 미리보기 기능으로 도입되었고,Java 16부터 정식으로 지원되는 불변 데이터 클래스를 위한 문법입니다.public record User(String name, int age) {}위 한 줄로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생성할 .. 2025. 5. 31.
[Python] 문법 초보자 가이드 – Java 개발자를 위한 빠른 입문 ✅ 파이썬이란?Python은 간결하고 가독성이 뛰어난 문법을 가진 인터프리터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입니다.웹 개발,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Java와 비교하면 코드가 짧고 직관적인 편입니다.✅ 1. 변수 선언과 타입Python은 동적 타이핑 언어입니다.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name = "Alice"age = 25height = 172.5is_active = TrueJava의 String name = "Alice";와 같은 방식과 다르게 타입이 생략됩니다.✅ 2. 주요 자료형리스트 (List)fruits = ["apple", "banana", "cherry"]print(fruits[1]) # "banana"튜플 (Tuple)co.. 2025. 5. 26.
[Java] Enum을 똑똑하게 사용하는 실무 패턴 정리 ✅ 왜 Enum을 잘 써야 할까요?Java의 enum은 단순히 상수를 나열하는 기능을 넘어서,비즈니스 로직과 상태를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하지만 많은 코드에서는 여전히 if (type == A)와 같은 방식으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Enum을 더 똑똑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1. 기본적인 Enum 선언public enum OrderStatus { READY, PAID, SHIPPED, CANCELED}가장 기본적인 상태 표현 방법입니다.실무에서는 코드, 설명, DB 값 등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2. 필드와 생성자 추가하기 (코드 + 설명 포함)public enum OrderStatus { READY("R", "결제대기".. 2025. 5. 25.
@Transactional이 작동하지 않는 진짜 이유 Spring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노테이션이 @Transactional입니다.하지만 분명히 @Transactional을 붙였는데도 롤백이 되지 않거나, 트랜잭션이 작동하지 않는 현상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그런 상황들이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기본 개념 정리@Transactional은 Spring AOP 기반으로 작동합니다.즉, 프록시 객체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가로채서 트랜잭션을 시작하거나 커밋/롤백을 결정합니다.❌ 트랜잭션이 작동하지 않는 흔한 원인1. 자기 자신 호출 (self-invocation)@Servicepublic class UserService { @Transactional pub.. 2025. 5. 24.
[Java] Optional이란?? Java 8부터 도입된 Optional은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하고 명시적으로 null 가능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컨테이너 클래스입니다. Optional을 사용하면 null 체크를 보다 선언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Optional의 바람직한 사용 예public Optional getUserEmail(Long userId)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userId); return Optional.ofNullable(user.getEmail());}Optional.ofNullable()을 통해 null이 될 수 있는 값을 안전하게 감쌉니다.클라이언트 코드에서는 isPresent(), ifPresent(), orElse() .. 2025. 5. 23.
반응형